소상공인 크레딧 신청은 했는데, 막상 어디에 쓰이고 어떻게 빠지는 건지 모르겠다면 꼭 읽어보세요. 신청 이후에 카드사에서 자동으로 차감하는지, 결제 후 잔액 조회는 어떻게 하는지, 알림은 따로 오는지 등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서 소상공인 크레딧 사용법, 자동이체 차감, 잔액 알림 정리해봤어요!
저도 아버지 카드에 크레딧 등록만 해드리고 “이제 되겠지~” 했는데,
어느 날 갑자기 궁금해지더라고요.
“전기세 자동이체 됐는데, 이게 크레딧에서 빠진 건가…?”
“잔액은 어디서 확인하지… 문자라도 오나?”
알고 보니 등록만 했다고 자동으로 끝나는 게 아니더라고요.
중간에 꼭 챙겨야 할 ‘주의 포인트’가 몇 개 있었어요.

크레딧 사용법 : 자동이체도 알아서 차감될까?
정답부터 말씀드릴게요.
자동이체도 크레딧에서 차감됩니다. 단, 카드 연결 상태가 정확해야 돼요.
핵심 조건: 자동이체 카드 = 크레딧 등록 카드
- 예를 들어, 아버지의 국민카드에 크레딧을 등록하셨다면
전기세, 건강보험료 등 자동이체도 그 국민카드로 연결돼 있어야 해요. - 만약 예전 신한카드로 자동이체가 설정돼 있다면?
👉 크레딧 차감 안 됩니다.
확인 방법
- 카드사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자동이체 항목 확인
- 국민연금, 건강보험, 도시가스 등 각 납부처 홈페이지 접속
- 자동이체 카드 정보가 등록된 크레딧 카드인지 체크!
사용하면 문자로 잔액 알림이 올까?
조금 애매한 부분인데요, 결론은 “카드사 알림 설정 여부에 따라 다릅니다.”
실제 사용 흐름은 이렇습니다:
- 카드 결제 → 카드사 일반 결제 알림
- 며칠 후 → 크레딧 차감 여부는 별도 알림 가능
하지만 이 알림이 기본값으로 꺼져 있는 경우도 있어서,
카드사 앱에서 수동으로 ‘이용내역’ 또는 ‘혜택 알림’ 설정을 켜야 해요.
예시: 국민카드 앱
- [My KB > 혜택 조회 > 소상공인 크레딧 내역 확인] 가능
- [알림 > 혜택 알림 수신] 체크 여부 확인 필수
이런 공과금도 크레딧으로 빠질까?
💡 공과금·사회보험료도 차감 대상이에요.
공과금 항목 | 적용 가능 여부 | 비고 |
---|---|---|
전기요금 | ✅ | 자동이체 카드만 잘 연결되면 가능 |
건강보험료 | ✅ | 납부 카드 정보 꼭 확인 |
국민연금 | ✅ | 일부 제외되는 사례도 있음 |
도시가스 | ✅ | 카드사·지역별 상이 |
단, 일부 가맹점이나 납부처는 차감 제외 대상일 수 있으니
카드사 공지나 ‘소상공인 크레딧 전용 페이지’에서 최신 대상 목록을 꼭 확인해보세요.
아참, 그리고 통신비 주유비도 이제 할인받을 수 있다고 하니 꼭 확인하세요.
실사용자 팁: 저희 집 사례로 보면…
아버지가 국민카드에 크레딧 등록은 하셨는데,
도시가스는 예전 신한카드로 계속 빠져나가고 있었어요.
그래서 해당 도시가스 고객센터 전화해서 카드 정보 변경했고,
그다음 달부터는 도시가스 요금도 크레딧에서 차감되기 시작했어요.
📌 요금 고지서에 “신용카드 자동이체 중”이라고만 적혀 있어서 방심하면 안 됩니다.
꼭 어떤 카드인지까지 확인해야 돼요.
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크레딧 등록만 하면 자동으로 차감되나요?
- 아니요. 카드사 등록 + 해당 카드로 실사용이 되어야만 차감됩니다.
Q2. 크레딧은 어떤 항목에서 사용 가능한가요?
- 공과금, 보험료, 통신비 등 생계성 소비 위주로 사용 가능해요.
Q3. 잔액은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?
- 카드사 앱(예: 국민카드 앱) 또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해요.
Q4. 알림 설정은 어떻게 하나요?
- 카드사 앱 > 알림 설정 > ‘이용내역’ 및 ‘혜택’ 알림 항목을 ON
Q5. 크레딧은 선불인가요 후불인가요?
- 후불형 지원입니다. 결제 후 일정 시점에 정산·차감되는 구조예요.
끝으로 한마디만 더 하자면…
저도 이번에 알게 된 내용인데,
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“신청만 했다고 끝난 줄” 아시더라고요. 😅
혹시 부모님이나 주변 분들도 등록만 하고 제대로 못 쓰고 계신다면,
이 글 공유해주시면 큰 도움 되실 거예요.
👉 카드사별 크레딧 알림 설정은 꼭 확인해보시고,
👉 공과금 자동이체 카드도 다시 한 번 체크해보세요!